목 적 : Methylxanthine제의 기관지 확장제인 아미노필린 정맥주사는 그 효능에 대한 근거가 적고 유효 치료 범위가 매우 즘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오래 전부터 홉입 베타 자극제와 함께 천식의 급성 악화 환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급성 천식 상태에서 적절한 베타 자극제에 추가된 아미노필린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해서 정맥용 아미노필린의 추가 투여가 아무런 유용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흡입용 베타 자극제와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의 정맥 투여에 추가된 정맥용 아미노필린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은 1996년 3월부터 1997년 9월까지 18계월동안 경회의대 부속병원 소아과에 급성 기관지천식 발작으로 입원한 만 5세부터 15세까지의 환아 30명을 선정하여 아미노필린을 투여받는 군(아미노필린군, n=15)과 투여받지 않는 군(대조군, n=15)으로 나누었다. 두군 모두 전 입원기간을 통해서 흡입용 albuterol과 정맥으로 methylprednisolone을 투여받았으며 아미노필린군은 정맥용 아미노필린을 추가로 투여받았다. 치료에 따른 효능의 평가는 입원기간, 최대호기속도(PEFR), 천식 증상점수 등을 근거로 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해서 Student t-test와 chi-square 분석을 통해서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의 연령, 성비, 치료 전에 측정한 PEFR의 정상추정치에 대한 백분을, 천식 중상점수(asthma symptom score) 및 심박수에서는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군의 치료에 따른 결과 변수 비교에서 아미노괼린군과 대조군의 입원기 간은 각각 5.1±1.0일과 5.3±1.2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24시간의 중상점수 차이는 각각 2.0±1.1점과 1.9±0.9점으로 두군 모두에서 치료후 24시간에 치료전 비해서 증상점수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두군 사이 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EFR의 정상 추정치에 대한 백분을의 평균치는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치료후 12시간에 54그雲4%와 53±19%, 24시간에 58±15%와 60±20%, 48시간에 64±25%와 66±23%, 최종 측정치는 78±30%과 82±28%로 24시간 이후부터는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연구 기간의 어떤 시점에서도 두 군간에 PEFR의 정상 추정치에 대한 백분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buterol 분무 치료 24시간 동안의 albuterol 투여 횟수는 아미노필련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4.5±0.8회와 4.4±0.6회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필린군의 평균 혈중 theophylline 농도는 10.2±1.7㎍/mL이었다. 부작용은 아미노필린군에서 더 흔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구역(nausea) 및 구토 중상이 아미노필린군에서 가장 흔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급성 천식 발작으로 입원한 경증 및 중둥중 환아의 치료에서의 베타 자극제의 흡입과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에 정맥내 아미노필린을 추가로 투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효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중종의 급성 천식환자에서 아미노필린의 정맥내 투여로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결정을 위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 피하지방괴사(subcutaneous fat necrosis)는 분만 손상, 저산소증, 저체온 치료(therapeutic hypothermia), 저혈당증, 산모의 임신성 당뇨병과 고혈압 등의 위험 요인을 가지는 만삭아에서 출생 후 아주 드물게 발생하며, 고칼슘혈증, 통증, 지질이상, 신부전, 피하 위축 등이 동반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신생아 피하지방괴사 4례 정도가 발표되었으나, 저자들은 태변 흡인 증후군과 함께 저혈당증이 있는 신생아에서 발생한 피하지방괴사 1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2, MPEG-4, H.264/AVC 및 VC-1 코덱 표준을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 포맷 비디오 복호기 (MFD)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FD는 디지털-TV SoC 에 필요한 고사양의 고화질급 비디오 처리를 목표로 하였다. 리스크 프로세서, 온칩 메모리 및 주변 회로 등의 크기가 큰 공용 자원들을 공유하여 크기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코덱 별로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한 분리 가능한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설계되고 검증된 코덱의 안정성의 유지를 용이하게 해준다. 설계된 MFD는 65nm 공정에서 크기가 약 2.4M 게이트 이며, 동작속도는 225MHz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MFD는 현재까지 알려진 MFD 중 최고 성능인 고화질급(1080p@30fps) 이상의 비디오 디코딩을 지원하며, 가장 많은 종류의 비디오 코덱 표준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