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동객체는 스레드와 같은 독립적인 실행단위로서 객체가 생성될 때 CPU의 스케줄을 받아 실행되어지는 개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능동객체론 정의하고, 능동객체의 생성 및 실행을 제어하는 능동객체 실행시간 지원시스템(Active object Run Time support systems ; ART)을 제시하였다. 또한 ART는 분산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위치 투명성이 보장되고, 편리한 방식으로 분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능동객체 사이에 메소드 호출을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통신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T를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이 시스템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분산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Active object is an Independent runnable unit which is scheduled by CPU in creation tim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active object and suggest ART(Active object RunTime support systems) which controls creation and execution of the active object. ART can Provide users locational transparency and support easy method call mechanism. We also designed a communication model among active objects and implemented a communication method to make the distributed programing possible. The implementation target platform of ART is an embedded system which has only limited resources and runs in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능동객체는 스레드와 같은 독립적인 실행단위로서 객체가 생성될 때 CPU의 스케쥴을 받아 실행되어 지는 개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능동객체를 정의하고, 능동객체의 생성 및 실행을 제어하는 능동객체실행시간 지원시스템(Active object RunTime support systems;ART)을 제시하였다. 또한 ART는 분산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위치 투명성이 보장되고, 편리한 방식으로 분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능동객체 사이에 메소드 호출을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통신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T를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이 시스템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분산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최근의 전력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태 등은 전력생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나라에게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스마트그리드라는 지능형 전력망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에 힘입어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에도 소규모 분산 전원공격,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 공격, 배전망 관리센서 공격, 보안에 취약한 스마트미터에 대한 공격 등의 사이버공격이 이루어지고 있어 전력 공급은 물론 전체 시스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안 체계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정리하고, 안전성이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슈를 제기하고자 한다.
OMG에 의해 제안된 CORBA는 현재 분산 컴퓨팅 환경의 표준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환경에서도 CORBA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간 분산처리에서는 핵심 요소인 시간관리(time management), QoS, 스케쥴링, 병행성(concurrency), 장애감내(fault tolerance), 그리고 성능(performance)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사양을 명시할 수 있는 특화된 실시간 CORBA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감내성과 병행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객체 서비스 구조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