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자연환기 상태의 시설온실 내부기온은 강한 태양에너지로 인해 외기온보다 5 ℃ 이상 높아 시설재배 작물의 생육한계 온도인 35 ℃를 초과하는 경우가 흔한 실정이다. 실내 기온이 상승하면 온도에 의존하는 상대습도는 낮아지는데 우리나라 여름철 맑은 날 기준으로 시설온실 내부 상대습도는 50 %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증발냉각이 유리하다. 증발냉각 원리를 이용한 포그냉방은 장치, 설비 등이 대부분 국산화되어 설치비용이 줄어들고 포그분무, 휴지시간 등 정밀제어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고온기 냉방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그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위해 자연환기는 극대화하고 온실 내부에 순환팬을 설치하여 제습 및 증발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기 유리온실에서 공기유동팬 작동, 포그시스템 작동, 공기유동팬 및 포그시스템 작동 총 3가지 처리에 따른 온습도 변화 및 분포 균일도를 확인하였다. 작물이 정식 되지 않은 유리온실에서 측창 개방, 천창 닫힘, 차광막은 열림 상태의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포그시스템은 60초 분무 30초 휴지시간으로 설정하고 공기유동팬은 오전 10시에서 오후 17시까지 작동되도록 설정하였으며 유리온실의 환경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상, 중, 하 위치에 온·습도센서(HOBO, U23-001) 36개를 설치하여 10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실험결과 공기유동팬과 포그시스템을 동시에 운용했을 때 외부기온보다 최대4.8 ℃ 낮았으며 공기유동팬 3.4 ℃, 포그시스템 3.2 ℃ 순으로 나타났다. 포그시스템을 운용했을 때 온실내부의 습도 차이는 공기유동팬과 포그시스템을 동시 운용했을 때와 10.3 % 높았으며 공기유동팬을 운용했을 때와는 14.1%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외부기상과 온실 내부 환경변화를 고려한 최적화 된 공기유동팬 및 포그시스템을 운용하면 제습 및 증발효율을 높일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ese studies are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environmental improvement system that can parallel the cage(henhouse) and hot and cold potable water supply for increased summer heat stress relief and winter feed efficiency by optimal design. The cage area is 273m2. The air-to-water heat pump with 20RT capacity was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The control was used as an electric hot water boiler. For calculating heating load determined the cage size, materials, heat pump capacity, heating capacity, heat storage tank, and drinking water tank capacity etc. Therefore the capacity of heat pump was set-up using 20RT. The cage was built as a prefabricated panels henhouse of 13×21×4.5 m (width×depth×height). The heat storage tank and was drinking water tank capacity was constructed 3tons and 10 tons, respectively. In future, it is thought that optimal design considering the cage size and hen breeding scale is required.
서로 다른 영역의 기술이나 서비스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디지털 컨버전스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융합 대상이 기술 중심에서 콘텐트 중심으로 동종 콘텐트에서 이종 콘텐트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학술콘텐트 부분에서도 다양한 포맷과 유형의 학술콘텐트를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고에서는 학술콘텐트 부분의 연계ㆍ융합 사례를 고찰하고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KISTI의 이종 콘텐트 간 연계ㆍ융합 통합 모델인 CLICK을 중심으로 통합 플랫폼의 특징, 문제점 및 해결책,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amount of harmful fungi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drainage and culture medium from the paprika hydroponic facility is identified. In addition, by proposing the necessity of effective purification of discharged drainag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rainage reus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need for purification facilities in the future, as well as improvements in horticulture facility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2 types of fungi were detected in paprika medium and 10 types of fungi were detected in the drainage, and their densities were 130 and 68, respectively. Among the fungi detected in the media and drainage of the paprika hydroponic facility, the fungi with the highest detection frequency are Fusarium, Phytophthora, and Pythium. In the case of bacteria, a total of 2 types of 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paprika facilities, and the density was 28 and 23, respectively. Therefore, in order to reuse the drainage and settle the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a water treatment process capable of appropriate treatment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