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시스템은 방대한 양의 데이타를 다루는 특성 때문에, 이 수많은 데이타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려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의 검색을 위한 공간질의어가 필요하다. 이런 정보검색뿐만 아니라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기능중의 하나가 네트워크 분석이다. 네트워크 분석이랑 네트워크의 연결상태와 방향성을 분석하고 최단거리 등을 구하는 것으로 도로망, 상하수도 등의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공간질의 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최근 공간정보를 다루는 GIS, SIIS, GNSS, ITS 네 개의 시스템에 대한 통합연계 기술인 4S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4S 기술에 컴포넌트 기반의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4S 핵심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4S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4S 기술의 실제 응용분야는 매우 많으며 특히 본 논문에서는 4S 기술을 화재, 홍수, 태...
방대한 데이타를 다루는 공간질의 처리에서는 필요한 데이타를 신속히 접근하기 위하여 대상객체 중에서 후보객체를 찾아내는 여과단계와 후보객체들 중에서 최종 질의를 만족하는 객체들을 찾아내는 정제단계로 나누어 처리하는 2단계 질의처리방법이 연구되었다. 이때 정제단계의 비용이 훨씬 크기 때문에 여과단계에서 많은 객체들을 여과하고 최소한의 후보객체들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과단계에서의 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MMP 필터와 이를 R+ 트리에 내장한 다중필터방법을 제안하였는데 다중필터방법은 여과단계에서 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과 MMP 필터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여과효과를 극대화한다. 제안된 MMP 필터는 기존에 연구된 기하적 필터들에 비하여 여과율은 높으면서 생성과 관리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기존의 다단계 여과방법에서 적용할 수 없었던 상수도, 가스, 도로망 등의 선객체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분야에서 가장 널리 서비스되고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최신 동향은 주행중 운전자의 정보 인지를 쉽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감 내비게이션 기술은 운전자의 시야와 동일한 전방 영상을 카메라로부터 획득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그 위에 오버레이하여 직접 전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실감 내비게이션을 위하여 기존 방식과는 다른 빠르고 효과적인 정보전달 방식이 필요하며, 어떤 정보를 사용자에게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 내비게이션에서의 정보 표현을 위한 화면 배치, 가상객체의 디자인 안, 정보량의 적정수준 등 디자인 방향과 고려사항을 논의하고 사용자 평가에 의한 디자인 최적 대안을 제시한다.
효율적인 도로정보의 구축은 GIS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정보를 자동으로 생성, 구축하기 위하여 모바일 매핑 기술과 영상인식 기술을 결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매핑 시스템은 CCD 카메라, GPS, INS를 장착한 차량의 형태를 가지며, 취득한 영상에 나타난 공간객체의 좌표를 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모바일 매핑 시스템에 의한 공간객체 좌표추출과 데이터 구축은 자동화되지 않아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도로의 자동 인식은 영상인식 분야에서도 자동주행차량에 대한 연구의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영상인식에 기반한 방법들은 도로 차선에 적용할 경우 차선의 끊김, 차량에 의한 가려짐, 좋지 않은 날씨와 조명 등 실제의 도로나 도로변의 다양한 예외상황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매핑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GPS/INS 데이터 및 영상인실 기술을 모두 이용한 자동 도로데이터 생성방법을 제안하였다. 영상에 나타난 도로 차선의 3차원좌표로부터 영상에서 객체가 나타날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영상에 나타난 도로 차선의 3차원좌표로부터 영상에서 객체가 나타날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은 도로 차선을 찾기 위한 복잡한 영상처리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예외상황 때문에 도로차선을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스플라인 인터폴레이션에 의하여 값을 얻는다. 인터폴레이션은 교차로나 급격한 변화 지점에 따라 구분된 도로 구간 단위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객체좌표 추정방법과 인터폴레이션 기법에 대한 실험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률도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웹에 대한 접근성도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엄청난 양의 빅 데이터를 통해 획일적인 검색을 통한 정보 제공이 아닌, 사용자 맞춤형 지식 제공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4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동정보와 장소를 추측 하고, 정답 셋을 구성하여 데이터의 평가를 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인류의 생활터전인 공간과 시간에 대한 정보화를 통해 수치지도, 위성영상 등의 공간정보 활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공간정보 처리 기술은 각각의 활용분야에 따라 제각기 발전하여 실제 업무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독립적인 분야별 발전은 한계에 다다르기 마련이어서 공간정보를 통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얻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를 처리하는 GIS, SIIS, GNSS, ITS의 단위 기술들을 통합하기 위한 4S 기술에 대해 언급하고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공동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및 4S 핵심 컴포넌트에 대해 살펴본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기술은 저장형식과 상관없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공간정보를 공동활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4S 핵심 컴포넌트 기술은 단위 기술별로 공통된 핵심 기능들을 정의하고 컴포넌트로 개발하는 것이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및 4S 핵심 컴포넌트 기술은 상이한 공간정보를 연계하는 응용 시스템 개발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요구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컴포넌트들을 조립식 블록처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