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9월 1일-1986년 3월31일까지 본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 급성 신우신염으로 입원 치료하였던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급성 신우신염의 발생빈도는 총 산과환자 15799명중 95명으로 0.6%였다. 2. 연령분포는 26-30세가 52명 (54.7%)으로 가장 많았고, 분만횟수는 초산이 77명 (81%)으로 가장 많았다. 3. 임신기간별 분포를 보면 분만전 발생이 76명(80%) 산후발생이 19명(20%)이었고 분만전에 는 임신 중기와 말기가 68명(71.6%)으로 대부분이었다. 4. 임상증상은 요통과 오한이 64명(67.4%)으로 가장 많았고, 임상소견으로는 75명(79%)에서 열 이 있었으며 늑골 척추각 압통은 65명(68.4%)에서 나타났다. 5. 뇨 검사상 백혈구수는 51이상 무수히 나오는 예가 43명(46.2%)으로 가장 많았으며 0-5개 로 나온 예도 28명(30.1%)이었다. 6. 뇨 세균배양검사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균은 Eschenchia coli 50명 (53%)에서 나왔고, 그 다음은 staphylococci 로 7명 (8.2%)이엇다. 7. 배양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에서 Eschenchia coli는 cefazolin sodium에 가장 감수 성이 높앗고 (75%) , staphylococci는 panimycin에 가장 높아 100%였다. 8. 뇨 세균배양검사상 48시간이내에 균 배양이 안된 28예와 10만미만으로 세균배양이된 8예, 그리고 10만이상으로 배양된 59예에서 신생아의 조산, 태아곤란증, 저출생체중아, 태아질식 발생을 각각 비교하여 본 결과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p<0.45) 9. 급성신우신염 환자의 기왕력을 보면 과거 뇨로감염이 있었던 경우와 과거 도뇨 경험이 있었던 환자가 26명(27.3%)이엇다. 10. 95명의 환자중 입원당시 열이 있었던 75명에서 52명(69.3%)은 열이 4일이내에 떨어졌으 나 나머지는 (30.7%) 열이 5일이상 지속됐으며, 7일이상 지속된예도 6명(8.0%)이었다. 11. 열이 지속된 기간과 저출생체중아의 관계를 보면 열이 0-2일 지속된 경우 저출생체중아 는 3명(8.1%)이었고 3-4일 지속된 경우는 2명(11.1%)그리고 5일이상 지속된경우는 6명 (37.5%)으로 5일이상 지속된 경우에 저출생체중아 빈도가 의의있게 높앗다 12. 임신중 급성 신우신염이 병발된 산모의 평균 출산주수는 38.6주였고, 평균 신생아 체중 은 3.13kg이었으며, 2.5kg미만의 조산아가 6명(8.6%)있었다. 13 조산과 산모연령과의 관계를 보면, 산모연령이 30세이상일 때 조산아는 2명(40.0%)으로 29세때 3명(6.1%) 25세 미만일 때 1명(6.3%)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본 연구는 0.5 ml straw를 이용한 정자 동결융해 시 융해 온도가 동결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미니 돼지의 동결정액에 최적화된 적정 융해 조건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정액동결 straw를 37, 50 및 70℃에서 각각 5초, 10초 및 45초간 융해하여 생존율(SYBR-14/PI staining), 정자원형질막기능검사 (Hypoosmotic Swelling Test) 및 첨체반응율 (CTC : chlorotetracycline staining)을 검사 한 결과 70℃에서 5초간 융해한 정자의 생존율과 CTC 결과가 37℃와 50℃에서 10초 및 45초간 융해한 처리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생존율과 낮은 비율의 첨체 반응율을 얻었다. 따라서 미니 돼지의 동결 정액은 고온에서 단시간 융해를 하는 것이 정자의 성상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국내 농업은 농업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농가소득의 감소, 농산물 수입 개방 심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ICT 기술의 융복합을 기반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스마트팜을 도입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스마트팜기술은 유럽의 농업 선진국에서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네덜란드의 시설농업은 대규모 유리온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적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시설농업은 대부분 중소규모 단동 비닐온실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유리온실에 적합한 농업 선진국의 스마트팜 기술을 국내 시설 재배에 적용하기에는 구조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위주의 국내 시설재배 특성에 맞도록 축적된 노하우와 품목별 재배여건 등을 고려한 ICT 기반 한국형 스마트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을 위한 온실 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자 한다. 온실 환경변수는 작물이 생장하는데 필수 요소인 온도, 이산화탄소, 양액, 습도이며 온실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고용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비닐온실이 주를 이루고 있는 국내 시설농업의 농산물 생산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11년간(1974-1984), 이화대학병원에 입원한 2 5㎏ 또는 그 이상의 총 출생 22000예중 12예의 견갑난산을 경험,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갑난산의 발생빈도는 과거 11년간 0 08% (8 : 10000)에서 0 2% (2 : 10000)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2 견갑난산 합병증은, 주로 상박신경총마비 (50%)로써, 그중에는 Erb`s paralysis (6예중 4예)가 많이 포함되었다 그외 견갑관절 손상 (16 7%) 및 저산소증(25%)등 이었고, 이들중에는 저산소증에 의한 1예의 신생아 사망이 포함되었다 3 견갑난산의 주요원인은 1회 이상의 경산, 임신성당뇨병(당부허검사, 양성) 4㎏ 이상의 거대아로 예측될 때, 또는 과거 3700g이상의 출산 기왕력, 진통 2기연장 (초산 2시간이상, 경산 1시간이상), 무리한 자궁저부압박(Uterine fundal pressure)조작 또는 진공흡인분만 등의 감행등 이었다 4 심한 상박신경총마비, 즉 Erb`s paralysis의 극단적 예후로서 11년간 관찰한 결고, 완전 마비되었던 팔을 30°측방으로 움직이고, 전방으로 이마까지 올릴 수 있어서 정상 팔의 보조역할을 할 수 있게된 예를 경험하였다 요컨대 완전 마비에서 희망적인 예후를 볼 수 있었다 5 예방책으로써 권장코자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과거 자연 질식분만을 잘했을 경우에도, 3700g이상의 출산 기왕증이 있었거나, 현재 거대아로 예측될 경우 또는 임신성당뇨병이 수반됐을 때 및 진통 2기 연장에 봉착되었을 경우에는 일단 견갑난산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비록 자연 질식분만을 했던 경산부라 할지라도, 무리한 유도분만이나, 자궁저부압박 조작, 또는 기계 견인분만 등을 감행하는 위험한 시도를 절대로 삼가야 한다 요컨대 안전한 제왕절개분만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머신러닝 (Machine-learning) 또는 기계학습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 빅데이터나 사물인터넷의 핵심 기술로 많은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농가인구 감소와 농업인 고령화, 곡물자급률 하락, 농가소득 정체 등으로 곡물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 농업분야 혁신을 꾀하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및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 (Smart Farm)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편이성 향상을 위하여 시설제어 자동화에 중점을 둔 1세대 스마트팜의 기술이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농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을 위한 축적된 작물들의 환경 및 생육 관리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상태로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의 시기별 생장 사진과 가격 정보, 생장 환경 정보 등을 수집하여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시켜 생장 환경을 자동 제어하고 최적의 시기에 수확할 수 있는 의사결정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제안한 기술은 전남에 위치한 시험 포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스마트 농장 관리 플랫폼 구축 및 최적의 수확시기 결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ta presented are based on the study of 30 cases of eclampsia admitted into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Seoul from January 1982 to September 1985. In this paper, the annual trend of eclampsia, etiologic factors of eclampsia,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and maternal and perinatal mortality will be discuss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eclampsia was 0.32%(1:316) among total of 9488 deliveries, and the annual trend of eclampsia has not been decreased during the past 4 years. The eclampsia was most frequent among nulliparous women(73.4%). In onset of convulsions in relation to delivery, 43.3% of the cases occurred in antepartum, 20% in intrapartum and 36.7% in postpartum period. 2. The mean age of eclamptic patients was 23.2(20~37) years. The mean gestational age was 38.6(32~43) weeks. 3. The major significant laboratory parameters in eclampsia were considered to be hemoconcentration(33% among 30 cases), elevated SGOT in 20% of the cases, increased uric acid level in 34.8% and severe proteinuria in more than half cases(56.7%). However the incidence of thrombocytopenia(less than 100,000/mm3) was not so frequent(6.9%) in this study. 4. The majority(70%) of babies born to the eclamptic mother were delivered vaginally. The incidence oflow birth weight infants(under 2500mg) accounted for 36.6% and considered to be very high. Among 32 babies born to the eclamptic mothers, 5 babies were dead during perinatal period, and the perinatal mortality accounted for 156.3 per 1000 birth. It was compared with current average rate of 22.7 per 1000 birth. 5. There was one case of maternal death among 30 cases, which estimated 3333 per 100,000 live births of 30 folds the current hospital mortality of Ewha. The cause of death was estimated as acute renal failure associated with sepsis. 6. The actual incidence of prenatal care in this study thought to be very high(83.3%), but the occurrence of eclampsia was not decreased at all. Therefoe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hi Amniotic fluid glucose,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thromboplastic activity were measured in 69 women with normal and abnormal pregnancies from 28 to 43 week gestation. Based on the present study, these parameters can be used as indicators of fetal maturity. Combining these parameters of fetal maturity results in a more reliable t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 here was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week and glucose, creatinine concentr ation and TAAF(thromboplastic activity in amniotic fluid)(glucose;r=-0.869, p<0.001, creatinine; r=0.708, p<0.001, TAAF;r=-0.913, p<0.001). 2) In normal pregnancies, the mean values of gluc ose, creatinine and TAAF were 11.08 1.82mg/dl, 2.03 0.25mg/dl and 52.93 11.74 seconds. 3) A mniotic creatinine, serum creatinine, AF/MS ratio(amniotic fluid creatinine/maternal serum crea tinine ratio) and TAAF levels in preterm pregnancies were lower than term pregnancies. How ever amniotic glucose levels in preterm pregnancies were higher. 4) Amniotic creatinine levels in postterm pregnancies were higher than term pregnanc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 ce in serum creatinine and AF/MS ratio in postterm and term pregnancies. Amniotic glucose l evels in postterm pregnancies were lower than in term pregnancies. TAAF levels on the othe r hand were higher in postterm pregnancies. 5) Amniotic creatinine levels and AF/MS ratio w ere higher in preeclamptic group than normal pregnancy group. But serum creatinine, amniotic glucose and TAAF leve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6) Amniotic creatinine and AF/MS ratio were lower in IUGR group than in normal pregnancy group. Serum creatinine, amniotic glucose and TAAF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UGR group and normal pregnancy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