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통하여 슬롯라인-마이크로스트립 변환을 이용한 고효율 전력 결합 모듈을 개발하였다. 제작된 전력 결합 모듈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두 가지 형태의 전력 결합기를 이용하여 슬롯라인 중앙에서 도파관을 통해 입사된 전력을 분배하고 전력 증폭기를 거친 후 다시 전력이 결합되도록 하였다. 제작한 결과 58.5 GHz와 60 GHz에서 각각 22.96 dBm, 22.81 dBm의 포화 출력 전력과 80 % 이상의(최대 86 %) 고효율 전력 결합도를 얻을 수 있었다. 각각의 전력 결합기를 back-to-back으로 연결하여 손실을 측정한 경우 두 가지 형태 모두 60GHz 근방에서 1.2 dB 내의 우수한 삽입손실을 보였으며 반사 손실은 15 dB 이상의 특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ght loss on exercise related circadian rhythm and exercise performance in wrestlers. Fifte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measured leg strength(Cybex test), anaerobic power(Wingate test), VO₂max(Bruce protocol) at 07:00hours and 17:00hours during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All subjects reduced approximately 6% of their body weight during 15days by fluid and energy restriction and forced sweating. Anaerobic power(average power) and strength(extension peak torque) presented higher levels of 17:00hours than 07:00hours but after weight loss this daily exercise rhythm abolished. Weight loss reduced maximal aerobic running time and muscle endurance capacity. In conclusion weight loss was partially disordered exercise related circadian rhythm and reduced exercise performance. Abolished circadian rhythm was not directly related by reduced exercise performance after weight loss. Further study needed to elucidate the exact mechanism related to different weight loss period and amount.
본 논문의 목적은 동서양의 구별을 비판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을 위한 하나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기독교를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가 서양의 종교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자 한다. 이 물음은 서로 상반된 방식으로 답변될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답변 속에서 서양은 동양을 통해서 그리고 동양은 서양을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전시켰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는 서양의 대표적인 종교로 여겨져 왔다. 그리고 여기서 서양은 유럽문화권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실 기독교는 유럽에서 발생한 종교가 아니라 서양이 동양이라고 간주한 지역에서 생겨난 종교다. 따라서 기독교의 발원지를 따지고 보면 기독교는 서양의 종교가 아니라 동양의 종교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럼에도 기독교는 서양의 종교임에 분명하다. 왜냐하면 서양문명에 기독교는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가 꽃피운 지역도 서양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한 동서양의 구분이 과연 근본적으로 가능한가에 대한 물음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문화의 경계를 동서양으로 명백히 나눌 수 없다는 점에 대해 반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양문명이 동양에 전파되어 동양의 근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지만 반대로 동양문명이 서양에 전파되어 서양을 계몽시킨 사례도 무수히 많을 것이다. 문화는 동서양을 넘나들며 서로 영향을 주며 상호적으로 발전한다. 그러한 대표적인 예가 바로 서양의 종교도 동양의 종교도 아닌 보편종교로서의 기독교가 될 것이다.
Stress fractures of the tibia are relatively common in military and young people. However, stress fracture of the proximal tibia is rare in elderly patients, but has been reported in association with osteoporosis, Paget disease, rheumatoid arthritis, pyrophosphate arthropathy, and knee deformities. We experienced a 65-year-old patient who did not have a chronic disease, with a stress fracture with primary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with varus deformity, which occurred at the proximal tibia, and we report on this unusual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prescription on metabolic and hormonal responses. The subjects were selected 7 male healthy college students. Specific values for intensity and time were considered and pursed so that there would be a 300Kca1 expenditure after finishing the graded exercise testing. Every subject performed bicycle-ergometer for 40min at 40% VOxnax, for 30min at AT levels, and for ZOmin at 80% VOurax. The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exerciseing, just after exercising, and after taking 5minutes` and 20minutes` rest, from the antecubital ve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eans of a 2-way repeated ANOVA and significance level of p$lt;.05 for rejection of the hypothesis was sele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by intents of exercise prescription (intensity X tim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blood glucose before and after exercise.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blood insulin concentration by intents of exercise prescription (intensity X tim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blood insulin before and after exercise.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blood cortisol by intents of exercise prescription (intensity X time). Also, there is no difference in blood cortisol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conclusion exercise enhance metabolic function partially but furtyer study needed to elucidate the exaxt mechanism related to exercise intensity and metabolic substrate and hormone with other one variables.
이 연구는 노화 진행에 따라 나타나는 골격근 내 글리코겐 대사의 저해 현상을 프로글리코겐(PG)과 메크로글리코겐(MG)의 변화로 세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당대사 조절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암컷 Sprague- Dawley(0,16,32)주령 쥐로 각 그룹 당 8마리씩 총 24마리가 이용되었으며, 실험 시작 후 일주일 적응 기간을 거쳐 0주, 16주, 32주가 되는 날 소듐 펜토바이탈(sodium pentobarbital) 60㎎/㎏ BM을 복강에 주입시켜 마취시킨 후 혈액을 채집하였으며, 적색의 외측황근(red vastus lateralis muscle)을 적출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20% 글루코스 용액을 이용하여 경구당부하 검사(OGTT)를 실시하였다.
실험쥐의 체질량은 0주 (117.8±0.9g) 보다 16주(302.0±11.1g)에서 32주(325.7±10.1g)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노화 진행에 따른 안정 시혈액 내 글푸코스의 농도는 0주에 비해 16주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16주와 32주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리 지방산과 인슐린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루밤 공복 후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0주에서 51.5±3.1㎎·dL-1로 16주의 73.3±2.7㎎·dL-1와 32주의 77±3.9mg·dL-1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경구당부하 검사에서는 글루코스 투여 후 15분대에서 혈줌글루코스 농도가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60분과 120분대에서 다시 빠르게 회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당부하를 검사시 채취한 혈중 인슐린 농도는 16주와 32주에 비교해 0주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노화의 진행에 따라 근육 내 총 글리코겐의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근육내 프로와 매크로 글리코겐 농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프로 글리코겐 농도는 0주에서 29.9±3.3mmol·㎏-1와 비교해 32주에서 29.9±3.3mmol·㎏-1로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16주의41.014.5mmol·㎏-1와 32주의 프로글리코겐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매크로 글리코겐 농도는 0주(19.5±1.6mmmmol·㎏-1)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요약하자면 노화가 진행됨에 따른 당대사의 손상은 쥐의 골격근내 프로와 매크로 글리코겐의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포유동물의 조직과 기관내 이러한 두 글리코겐의 형태의 정확한 생리적 역할을 구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