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국내 제품과 수입 제품간의 대체탄력성이 무한대가 아닌 경우에 국가간 지식확산의 정도가 국가간 생산성 격차에 미치는 동학적 효과를 학습모델에 기초한 교역-성장 모델의 범주에서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완벽한 지식확산하의 완전한 생산성 수렴을 예상하고 있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현실적으로 관찰되고 있는 부분적 지식확산과 부분적 생산성 수렴간의 관계를 도출하고 있다. 국가간 지식확산 정도가 어느 수준 이상이면 국가간 생산성 격차는 장기적으로 소멸된다. 그러나 국가간 지식확산 정도가 이러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국가간 생산성 격차는 지식확산의 정도와 제품간 차별화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한 균형 수준에 수렴한다. 따라서 국가간 지식확산의 정도와 생산성 격차의 장기적 균형수준간에 연속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보인다.
1)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이론계산을 통한 작용모멘트는 제작된 폴리머 콘크리트 조립식개거의 구조실험 및 분석을 한 결과 저항 모멘트가 작용모멘트보다 크게 나타나 안전율을 확보 할 수 있는 폴리머 콘크리트 조립식개거 공장제품을 개발하였다.
2) 신건설재료인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여 농업용 수리구조물의 하나인 폴리머 콘크리트 조립식 개거를 개발하였고 공장에서 생산되어 철저한 품질관리를 할 수 있어 품질이 양호하고, 내구성이 상당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3) 개발된 폴리머 콘크리트 조립식개거는 경량이고 대형단면(벤치풀륨의 1/2, 레미콘 타설 용수개거의 1/3)이며 양생불량으로 인한 품질저하 없고 내염성, 내화학성을 지닌 간척지나 하수 구조물에 특히 유리하며, 경제성면에서는 현장타설개거와 공사비가 비슷하며 동절기 콘크리트 공사 보다 품질변동폭이 작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4) 시범시공을 통하여 폴리머 콘크리트 조립식개거 연결부 이음방식은 수팽창고무지수재를 삽입하고 볼트로 체결함으로서 수밀성이 양호하여 누수가 없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5) 규격별 폴리머 콘크리트 조립식 개거 호형도를 개발하였으며, 공사시방서 및 제작시방서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로교의 정밀현장조사를 통하여 콘크리트 수리구조물의 각 부위·부재의 손상 상황, 노후의 종류, 노후의 정도, 노후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 등에 대해 조사하여 노후손상현상 및 원인을 수리구조물별로 체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수로교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수로받침을 통하여 연결된 각각 독립된 다수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구성된 각각의 독립된 구조물 모두가 구조 및 기능면에서 안정상태가 유지되어야 전체적인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로교는 받침을 통하여 독립된 다수의 구조물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반콘크리트 구조물과 달리 부분적인 보수 및 철거 후 재시공이 비교적 용이한 수리구조물이다. 또 수로교는 관개용수의 목적으로 시설된 구조물로 사계절 지속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영농기에만 관개용수의 공급 용도로 이용되는 계절적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위치의 특수성으로 수로교는 점토지반, 매립지반, 하천, 계곡 등 대부분 기초지반의 지내력이 부족하거나 견질지층의 위치가 깊음 등 열악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장비와 레미콘 차량의 진입이 어려운 곳이 많다. 수로교 상부의 수직 및 수평하중은 하부구조인 교각보 양단부의 좁은 단면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구조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로교에 대한 노후손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수리구조물별로 노후손상과 원인을 토대로 구조물별로 노후손상과 그 원인을 유형화 시켰으며 그 손상정도에 따라 적절한 보수보강 소재 및 공법을 선정 할 수 있도록 체계화 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보수사업을 실시할 경우 설계 및 시공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수리시설물의 조기 노후화를 예방할 수 있는 보수보강 신소재 및 공법 개발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Concrete repair and reinforcement is a complex process, presenting unique challenges very different from those experienc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 and mechanism of deteriorations in irrigation and drainage structure. Damaged and deteriorated structures are classified with several types. This provides a survey of crack repair methods, including a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cks that may be repaired with each procedure. and a summary of the procedures that are being used. It is systematically evaluated with the disintegration in irrigation & drainage structure; drainage sluice gate, pumping station, drainage pumping station. Following the evaluation of the irrigation & drainage structure, a suitable repair and reinforcing procedure can be selected based on this report.
본 논문에서는 Impulse-radio-based Ultra Wideband (IR-UWB)를 이용한 에너지 검출 기반의 비동기 수신기에서 저사양의 ADC와 간단한 디지털 회로 만으로 이루어진 심벌 동기 획득(acquisition) 및 심벌 동기 추적(tracking)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심벌 동기 방식이 정확한 심벌 동기 “시점”을 찾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제안하는 방식은 심벌 동기 “구간”을 찾아 그구간 내에서 데이터를 판단함으로써 하드웨어 복잡성을 낮추었고, 전력 소모를 줄였다. 이를 위해 심벌 동기 구간에 해당하는 BDW (Bit Decision Window)를 정의하고 SNR(Signal to Noise Ratio), 하드웨어 자원 및 BDW의 크기와 BER (Bit Error Rate)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어진 SNR과 하드웨어 자원으로 BER을 최소화하기 위한 BDW의 크기를 구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실제 임펄스 채널 특성을 고려하여 모의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