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청소년에 대한 개입은 청소년 개인의 웰빙과 재범 및 성 인기 범죄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술지에 발표된 비행청소년에 대한 심리학적 개입 연구들을 통합해 메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입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 였다. DBPia, KISS, RISS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20년 9 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된 62편 의 논문들 중 36편이 포함기준을 충족하였다. 각 연구로부터 참 여자 특성, 개입유형, 측정변인, 상담절차 등에 대한 자료를 추출 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모든 연구들은 집단상담의 형태로 진행 되었으며, 개입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큰 수준이었다(1.10). 예 술치료와 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한 개입이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 었으며, 효과크기는 각각 1.52와 0.87로 예술치료의 효과가 보 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지각, 공격성, 분노, 사회적 적응, 자 기통제, 우울, 품행문제, 정서조절 등에 대한 개입의 효과크기는 중간에서 큰 수준(0.66-1.9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비행청소년에 대한 심리학적 개입이 청소년의 내현적 문제 와 외현적 문제 완화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비행청소년에게 효 과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개입들이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도 효 과적인지를 살펴보는 향후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목적 조현병 환자들이 정서를 지각할 때 보이는 뇌활성화 패턴은 정상인과는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최근의 증거들은 조현병 환자들이 공포스런 얼굴이나 무표정한 얼굴을 지각할 때 편도체 영역이 과활성화 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아울러 최근에 발표된 연구들에 따르면 비강내로 처치하는 옥시토신은 건강한 남성와 조현병 환자 모두에게 있어 정서 지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서지각에 있어 옥시토신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들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옥시토신이나 위약을 비강내로 처치한 후 정서를 지각하는 동안 뇌활성화 패턴이 어떻게 변화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6명의 조현병 남성 환자들과 환자와 연령을 맞춘 16명의 정상대조군 남성에게 1주일 간격으로 40IU 의 옥시토신과 위약을 한차례 투여한 후 공포스런 얼굴과 행복한 얼굴, 무표정한 얼굴을 지각하는 동안 뇌 활성화 패턴을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활용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현병 환자들은 공포스런 얼굴과 무표정한 얼굴을 볼 때 옥시토신 조건에서 양쪽편도체 영역의 활성화 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옥시토신의 효과는 옥시토신 조건에서 공포스런 얼굴을 보다 명확하게 지각하는 행동 패턴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정상인의 경우, 행복한 얼굴을 볼 때 옥시토신 조건에서 편도체 영역의 활성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인에 대한 옥시토신의 이러한 효과는 애착 스타일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비강내로 처치하는 옥시토신이 조현병 환자들의 과활성화된 편도체 기능을 다소 감소시켜 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현병 환자들에게 있어 옥시토신의 치료적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어 그 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aylight characteristics shed on the surface of elementary buildings. It deals with the amount of daylight and the amount of heat from direct sunlight on which reaches the surface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These daylight features are compared to the different types of building blocks such as closed square, closed L and parallel types.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conducts daylight simulation through Ecotect 2010 program by utilizing yearly climate data.
Children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usually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basic number concept. The difficulties are caused by their characters and inappropriate instruction although they are in need of special instructions. There are three recommended learning principles to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uch as direct instruction. CSA(Concrete-Semiconcrete-Abstract) method, emphasizing experience in number. These principles and Applied behavioral analysis were used for teaching abstract number sense by using concrete materials to a child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9 materials (coloring, wooden blocks, clips, fingers, magnetic fishing game, stamps, animal stickers, peg play, magnet)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abstract number task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 Treatment components used in this program were prompts, positive reinforcement, DRO(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zero responding), extinction, and using an AB-design, the performance rate of task was compared. The percentage of successful performance has increased to 95.6% in basic number concept task. Additionally, now he can add and subtract within 20, which he was not able to do at the begi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