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와 혐오표현에 대한 다수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 형성되는 과정과, 혐오와 증오를 어떤 과정에서 느끼게 되며, 이를 어떻게 차별로 표현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즉,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혐오표현의 인지, 정서, 행동적 특성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외국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입법과 체계적인 개입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고정관념을 통하여 인간의 사고에서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혐오표현의 인지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혐오, 경멸, 증오로 이어지는 정서적 과정을 탐색하였다. 셋째, 차별에서 유발된 혐오 정서가 행동에 이르는 행동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혐오표현에 대한 외국법률 및 제재, 국제기관의 권고사항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문화와 사회에 맞는 제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2학기 9월∼12월까지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외국인 유학생 17명(남 14명, 여 3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후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4개의 상위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구성요소, 129개의 의미단위를...
This study is aiming at identifying the phenomenon perceived by adolescents who are actual victims of school violence upon the system of deletion of the violent action from student records is being discussed as a preventive measure for school violence, and further explor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recovery from school violence.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March to May 2021,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subjects (male: 13, female: 2) whose case was closed following suffering violence in school. Based on the quotes acquired through the interview, 5 high level components and 19 low level componen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Giorgi''s procedure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2004). The high level components were ‘Thought on the Record of Violent Actions’, ‘Influence of Victims on the Record of Violent Actions’, ‘Desired Actions After Suffering Damages from School Violence’, ‘Solutions for School Violence’, and ‘Cause of Recovery from Damage’. In the case of juvenile victims of school violence,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s to the record of violent actions were expressed through retributive thinking, damage recovery thinking, preventive thinking, and opportunity recovery thinking, and after the actually suffering damages from school violence, they are desi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their recovery, such as physical separation and prohibition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 order to solve school violence,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recovery of both the victim and the assailant students such as strengthening victim recovery, strengthening guidance, and strengthening prevention. As for the cause that actually had an influence on their own recoveries from damages, secondary damage, psychological anxiety, and the assailant''s non-reflective attitude were quoted as negative factors while the procedures and education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nd the cessation of secondary victimization were quoted as positive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we report the syntheses of new liquid crystalline monomers (reactive mesogen, RM) containing diene and dithiol terminal groups for coatable retardation film of transflective LCD. The structure of synthesized RMs were characterized together with their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Photosensitive solution was formulated from the RMs and photo initiator, and the solution was cast on the rubbed polyimide alignment layerfollowed by subsequent photo-polymerization by using thiol-ene polymerization to obtain optical retardation film.
본 연구는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경험, 우울 수준, 지능이 편집성 성격 특성을 예측하는 변인이 될 수 있는지에 대 하여 조사하였다.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130명을 대상으로 분 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년원생의 사회적 배제 경험은 우 울과 함께 편집성 성격 특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편집성 성격 특성의 각 하위척도인 과경계, 피해망 상, 원한에 대하여 우울은 유의미한 변인이었고, 지능은 과경계, 무시당한 경험은 피해망상, 거절당한 배제 경험은 원한을 유의미 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배제 경험, 우울이 소년원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임을 확인함으로써 소년원생의 정신건강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 는 사회적 배제 경험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및 사회기술 교육이 개인의 부정적 정서 억제와 장기적으로 범죄 예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위력 성폭력 사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력 성폭력 내용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하위질문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시나리오의 내용은 인사권을 가진 상급자가 비정규직인 하급자에게 성관계를 요구하는 것으로 하급자는 이를 거부하다가 수차례 성관계를 갖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에게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위력 성폭력에 대해 법적 근거에 따른 피해자 책임 정도, 유죄확신 정도, 피해자의 고통 정도, 가해자에 대한 양형 정도를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종합대학에서 교양수업을 듣는 대학생 329명이 참여하였고, 성인지 감수성 척도와 위력 성폭력에 대한 시나리오 2개, 아동 성폭력 시나리오 2개를 제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인지 감수성은 시나리오 ’A’와 ’B’에서 피해자의 책임 정도, 고통 정도, 형량부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인지 감수성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시한 위계에 의한 아동 성폭력에서 성인지 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정리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Recently, in order to respect and protect the life of infants, there are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crime of infanticide by deleting Article 251 of the Criminal Act and punishing the infanticide as general homicide. In the midst of this,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nfanticide in Korea and suggesting a direction for amendment of the Act. For that purpose, we explored the literature on neonaticide/ infanticide at domestic and abroad,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infanticide, the motive for the homicide, killing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petrator based on 46 written judgments of the first-instance cases adjudicated for infanticide between 2013 and 2020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motive for the homicide was that where practically (economically) impossible to bring up, and there was no person to ask for help due to an unwanted pregnancy, and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not announced in order to avoid disgrace. As for the killing method, killing without any action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was used so that infants were killed by suffocating or drowning them in their own residence or in a building that was difficult to access by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petrators were unmarried biological mothers, and their age was lower than the average age of childbirth in Korea. There were also some subjects, who were not aware of the pregnancy,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identity of the biological father was not known and the biological father did not know the pregnancy as well. Most of the perpetrators had no mental illness or criminal histor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legal recommendatio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Infanticide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소년원에 입원한 소년범을 대상으로 최초입원 소년 원생과 재입원 소년원생 간의 정신건강 및 범죄요인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PAI-A 척도를 활용하여 소년원 재입원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총 140명의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PAI-A, 범죄요인,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최초입원ㆍ재입원 소년범 간의 조증, 경계선적 특징, 반사회적 특징, 알코올 문제, 스트레스의 평균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유의한 변인 간의 상관분석에서도 각 척도 간 의 유의미한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낸 4가지 변인으로부터 추출한 외현화 변인과 정신병력 진단 유무 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을 검증한 결과, 소년원생의 재입원 유무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년원생의 외 현화 성격 특성과 정신병력 진단 경험이 재입원 가능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는 요인임을 보여줌으로써, 소년원생의 성격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치료적 개입 및 소년원 내 생활 처우 제공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