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was used to the experiment with the variation on the amount of smoking and low dose radiation exposure to find how much the Lymphocyte DNA was damaged, and especially for whom smoke a lot (about 20 or more than 20 cigarettes a day) it was found to be highly damaged. While, the damage of 'not more than 20 cigarettes a day' was found to be not so much significant as like for whom smoke about or more than 20 cigarettes a day. And, according to the different amount of the radiation exposure, the Lymphocyte DNA was found to be considerably damaged for 0~13 m Sv (P<0.01), it was not abl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NA damage and the radiation exposure.
저자들은 two chain urokinase의 loading dose 및 maintenance dose를 결정하기 위하여 성인 뇌졸중 환자 6예를 대상으로 urokinase 300,000units를 주입하고(Ⅳ boluse), 60분간 혈중 urokinase의 변동을 관찰하여 two compartment model을 이용한 pharmacokinetic study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중의 55~65㎏ 정도이고 간 기능이 정상인 한국인 성인에서 urokinase의 Vc(central compartment volume)은 4.56L 이었고 반감기는 distribution phase에서 2.3분, elimination phase에서 33.1분이었다. Total boidy clearance(CL)은 244/min이었고 area under the concentration time curve(AUC)는 1,349units/㎖.min이었다.
이를 근거로 하였을때 시험관에서 free form plasmin을 유리하는 urokinase의 최소 농도인 10units를 maintenance dose로 시간당 146,400units를 주입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외국 성서에서 추천하는 시간당 4,400units/㎏(60㎏×4,400=264,00units)에 비하여 약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 desired concentration으로 사용한 10units/㎖은 소위 therapeutic window의 lower margin에 해당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며 therapeutic window의 upper magrin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인 배추김치의 암예방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항유전독성을 측정할수 있는 Comet assay(일명 single cell microgel electrophoresis)를 사용하였다. 배추김치를 물 분획, 유기용매(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 불용성 분획과 우세발효균주들로 분리하였다. 배추에서 분리되어진 물 분획, n-hexane 분획, chloroform 분획, ethyl acetate분획, 불용성 분획은 non-tumoral normal 3T3 세포의 DNA손상에 대하여 항유전 독성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배추에서 분리된 발효균주 bacteria 1과 bacteria 2는 유의성 있게 3T3 세포의 DNA 손상을 감소시키는 항유 전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bacteria 3, 4, 5는 항유전독성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urokinasr를 치료목적으로 사용할 때 바람직한 urokinase의 혈중 농도를 알기 위하여 시험관 내에서 free form plasmin을 형성하는 urokinase의 농도를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Normal pooled plasma (NPP)에 urokinase를 가하여 다양한 농도의 urokinase를 포함하는 NPP를 만들고 S-2444 및 S-2241를 이용하여 free form urokinase 및 plasminm을 측정하였고 동시에 FDP가 형성되는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SDS-PAGE and electrophoretic enzymography를 이용하여 free form plasmin이 형성되는 urokinase의 농도를 알아내고자 하였던 바 free form plasmin은 urokinase 5-10 unit/ml의 농도에서 검출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urokinase 투여중 therapeutic window는 urokinase 10 unit/ml을 기준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이를 기준으로 loading dose 및 maintenance dosage를 위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