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의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와 K 지역 소재의 3개 간호
대학에 재학 중인 232명이었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4년 5월 15일부터 동년 6월 15일까지이며,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4.93점으로 중간이상이며, 하위영역에서 자기감성인식, 타인감정인
식, 감성조절, 감정활용 순으로 나타났고, 비판적 사고성향 3.43점이며, 하위영역에서 지적통합, 개방성, 진실추구 순이며 도
전성이 가장 낮았다. 전공만족도는 3.76점으로 나타나 중간이상이었고,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학업성적, 간호학과 선택 동기,
학교생활어려움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전공만족도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계획 시에는 감성지능
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기말 강의평가 결과의 활용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평가 방법과 관련된 문제점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평가제도 정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규모가 다른 두 대학을 선정하여 학기말 강의평가가 수업 개선에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수업유형과 형태에 따른 강의평가 결과를 단일 설문 강의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의 응답 성향과 결과의 신뢰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교수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학기말 강의평가 결과를 확인하고 있었고 강의평가 결과가 수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두 대학의 강의평가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동일 응답률 분포도는 유사한 성향을 보여 학생들의 불성실한 응답 태도는 강의평가의 종류와 관계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여러 가지 수업 유형 중 강의자가 여러 명이고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옴니버스식 수업의 동일 응답률이 매우 높고 상호 작용이 빈번한 토론 수업에는 동일 응답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업 참여도가 높을수록 수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수업 유형이 학생들의 강의평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강의평가 개선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행태를 분석하고 학업성취도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K대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참여자들은 2018년 1학기에 개설된 온라인 강좌에 참여한 학생들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18년 1학기 온라인 강좌를 수강한 학생 316명으로, 3학점 전공교과목 1강좌에 참여한 82명의 학생과 교양선택 1학점 수강생 118명, 2학점 교양선택 수강생 116명으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강좌 학습자들의 학습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학습자들의 접속 횟수, 진도율, 과제제출 횟수, 부정행위 행동 수를 분석하였고, 학습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강좌에 대한 인식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진도율 86.57퍼센트로 80퍼센트 이상의 학생들이 출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진도율이 전공강좌와 교양강좌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학년별로 강좌 진도율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온라인 강좌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3.87로 전제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강좌의 수강을 권유할 것이라는 문항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고, 온라인 수업을 신청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 다는 문항의 평균이 3.6으로 다음으로 낮았으며, 온라인 수업은 가치 있는 경험이었다는 문항의 평균 역시 3.68로 낮게 나타났다. 각 문항의 평균을 T-검정을 사용하여 강좌별로 분석한 결과 온라인 수업이 가치 있는 경험이었고 많은 지식을 습득하였으며, 수강을 후회하지 않는다는 항목의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을 증진시키고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K대학의 TEC Lab이라는 조직의 직무수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an Tiem 외(2004)의 ISPI 모델을 수정하여 적용한 모델에 따라 수행 공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한 사례이다. 본 연구에서는 채택된 ISPI 수행공학 모델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해결과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첫째, 참여관찰을 통하여 문제조직의 현 상태와 바람직한 상황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현재상황과 바람직한 상황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둘째, 이러한 차이의 근본원인을 조직분석과 과제분석을 통하여 밝혀내고 문제의 원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설계하였다. 도출된 해결방안은 직무교육방법과 비직무교육방법을 혼합한 방법으로 내재된 문제의 성격과 유형에 따라 적절한 해결방안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블랜디드형 수행공학을 적용한 문제해결 접근방법은 지식의 전달 뿐 아니라 필요한 자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정보공시제도에 대한 수요자들의 인식도와 신뢰도를 조사하여 교육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입장에서 대학정보 공시
제도를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공시된 자료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신뢰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들과 고등
학교 진학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
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정보 이용자들이 공시제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대학선택 의사
결정 시 공시된 자료를 어느 정도 참고하고 있는지 알아보았고, 면담을 통하여 공시된 자료를 어느
정도 신뢰하고 있으며, 대학에서는 공시정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보수
요자들은 대학정보공시제도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대학을 선택할 때 진학 자료나 참
고자료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시된 정보에 대한 신뢰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시된 교육정보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