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 식물섬유, 합성섬유 및 혼합섬유를 원료로 하여 비표면적 차이가 나는 세가지 등급의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입상활성탄을 대조흡착제로 하여 페놀 및 메틸렌블루의 액상흡착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들 흡착질 수용액의 활성탄소섬유에 대한 흡착등온선, 흡착속도 및 컬럼통액실험을 통하여 돌파점곡선을 측정하였다. 페놀 및 메틸렌블루의 흡착등온은 모두 typeⅠ을 나타내었으며 낮은 평형농도에서도 높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흡착질에 대한 활성탄소섬유의 흡착속도는 활성탄에 비하여 100배 이상 빠른 흡착속도를 보이며 유효확산계수도 20배 이상 높았다. 컬럼통액 실험결과 활성탄소섬유의 흡착용량은 활성탄에 비해 10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유해성 유기 오염물질 10종을 포함한 조제수를 자연여과방식으로 50L씩 처리한 결과 2단에서 이들 유기성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활성탄에 비하여 수처리 효율이 훨씬 높은 결과를 보였다.
정상인 혈청 194개와 결핵환자의 혈청 170개를 이용하여 결핵균 항원에 대한 반응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4가지의 반응형으로 나눈 수 있었다. 정상인 및 질병정도별 결핵환자와 치료경과 중 결핵환자의 반응형 빈도를 관찰한 결과 ii와 iii반응형은 활동형 결핵환자의 혈청에서만 관찰되었다. Western blotting 에서 ii와 iii반응형을 나타내는 환자를 활동성 결핵으로 간주하였을 경우 민감도는 32%이고 특이도는 100%이었다. 4종의 recording antigen과 임의 선택한 5종의 한무리 항체로 정제한 5종의 결핵균 항원을 이용한 dot-blotting 방법으로는 정상인과 결핵환자를 구분할 수 없었고 결핵의 혈청학적 진단에 있어서 민감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앞으로 14-19KDa의 결핵균항원에 대한 recombinant antigen과 한무리항체를 집중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목적기상재해와 생태계 파괴 등 인류의 생존을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환경오염 최소화에 국력을 집중하고 있음.`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녹색기술개발 전략의 수립이 필요한 바,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추진을 통하여 체계적인 녹색기술개발, 기술이전 및 실용화 제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연구방법 및 특징 1) 연구방법관련 선행연구 분석, 주요 외국의 녹색성장 정책 및 녹색기술개발 사례 조사·분석, 국내 기업 인터뷰 조사, 녹색성장위원회 등의 담당 공무원 및 관련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등과의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하여 정보 및 시사점을 도출함.국가연구개발사업의 녹색도(Degree of Greening) 적용방안 마련과 관련하여서는 전과정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활용하여 특정 제품기술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녹색기술 관련 미국 특허를 활용하여 녹색기술-산업과의 연계 정도를 파악, 녹색산업을 분류하였고 녹색기술개발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과 관련하여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함.도출된 연구내용은 수차례에 걸친 세미나와 심포지엄에서의 발표를 통하여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되었음. 2) 연구의 특징주요 선진국의 녹색정책 및 녹색기술개발 현황 분석, 주요 선진기업의 사례 조사, 국내 기업에 대한 인터뷰 조사 등을 통해 국가 녹색기술개발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의 과제를 도출하고,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녹색화를 위한 기술 녹색도 개념 및 적용방안을 마련하였으며, 녹색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분석함. 연구결과 1) 연구결과 요약주요 선진국의 녹색성장 정책 및 녹색기술개발 현황 조사 및 국내 주요 녹색기술개발 현황 및 부처별 녹색기술개발 투자 실적 조사·분석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의 핵심인 녹색기술개발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의 방향 및 과제를 제안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기준에 녹색도(Degree of Greening)를 도입·적용하여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녹색화 방안 마련녹색기술 관련 특허를 활용하여 27대 중점 육성기술과 산업과의연계도를 파악하여 10개의 녹색산업 (기초화합물, 일반목적 기계, 특수목적 기계, 사무기기 및 컴퓨터, 축전기·배터리, 기타 전기장치, 전자소자, 신호전송·통신, 측정기기, 자동차)을 분류하고,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녹색기술개발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녹색기술개발을 통한 녹색산업의 전략적 육성 전략 수립을 위한 분석 시각 제시 2) 정책적 기여주된 연구 내용은 녹색성장위원회에서 2009년도에 수립한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중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부분의 핵심 내용으로 채택됨. 연구결과의 활용 1) 연구결과의 활용 가능성관련정부부처 : 현재 녹색성장은 정부 정책의 화두로 부각되고 있어 거의 전부처와 연계 (특히 연관성이 높은 부처는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외교통상부 등 5개 부처임.)관련 법령·규칙 및 정책 :‘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등 2) 기대효과범 부처 차원, 부처별 녹색기술개발 관련 구체적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
살균소독제의 살균소독력 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세균현탁액 시험법(bacterial suspension test)에 대해 연구하였다. 살균소독력은 G(-)인 E. coli ATCC 10536과 G(+)인 S. aureus ATCC 6538에 대하여 $20{\pm}1^{\circ}C$ 에서 $5min{\pm}10^{\circ}sec$ 간 반응하였을 때 초기근수를 5 log이상 감소시키고, 또한, 시험검증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토하여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유통 중인 살균소독제 제품 36종에 대하여 확립된 시험법으로 살균소독력을 시험한 결과 모든 살균소독제는 제조자가 제시한 사용농도에서 살균소독력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식중독 균에 대한 살균효과도 관찰되었다. 확립된 시험법은 살균소독력을 측정하는 국가표준시험법으로서 살균소독제의 살균소독력 평가에 적합하였다. 【Bacterial suspension test was used to establish Standardization Test Method to investigate bactericidal activity of disinfectant/sanitizer product. Using acceptable verification methodology, test substance showing 5 log or higher reduction in viable count against Escherichia coli ATCC 10536 and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representing Gram-negative and -positive bacteria, respectively, under test conditions for $5\;min{\pm}10\;sec\;at\;20{\pm}1^{\circ}C$ was considered to have sanitizing capability. All disinfectant/sanitizer products tested under manufacturer's recommended in-use condition gave good reduction values against major food-poisoning bacteria. This standardized method was valuable for evaluating efficacy of disinfectants/sanitizers and could be used as Standardization Test Method for assessing bactericidal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