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작물은 국내 농업총생산액의 8.3%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작목으로 목본성, 영년생 식물에 해당하며 열매가 재배의 최종산물이다. 영년생 식물의 특성 상 종자의 발아에서부터 개화까지 길게는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어 세대진전이 늦기 때문에 교배 후 후대의 전개와 조사가 어렵다. 또한 많은 경우 자가불화성과 교배불친화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전형이 이형접합상태이므로 유전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유전현상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효율적이고 정밀한 품종육성에 큰 제한이 되고 있다. 최근 NGS 기반의 대량 유전정보의 활용기술은 과수작물에서도 유전현상 이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대규모 과수작물의 유전체 육종 연구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진 중이지만 아직까지 초본성 작물에 비해 시작단계에 불과하므로 아직까지 기술적 수준 차가 크지 않아 연구와 기술개발의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농생물게놈활용연구사업단에서 교목성 자가불화합성 장미과 과수인 사과와 배, 덩굴성 자가화합성 과수인 포도를 대표작물로 선정하고 1단계에서 핵심집단을 구축한 바 있으며, 현재 자원을 이용한 게놈전체연관분석이 추진 중이다. GWAS기술을 이용한 유용유전자의 동정과 분자표지의 개발은 과수작물이 가진 유전분석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농업적으로 중요한 형질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과 이용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그 연구결과는 해당 작물뿐 아니라 과수 전체의 유전현상에 이해를 높이고 고효율, 정밀 육종을 통해 국내 과수육종의 경쟁력을 크게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금융자산은 다양한 속성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비롯되는 편익이 금융자산의 수요를 창출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금융자산의 수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금융자산의 수익성과 안전성이 일정하다면 개인이 금융자산을 선택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기 준이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재무상태가 금융자산 선택에 미치는 영향도 금융자산별로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영향요인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자산 간 대체관계를 추가로 분석해 본다면 향후 새로운 금융상품 개발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가변게인 회전자 자속관측기를 이용한 스핀들 유도전동기의 센서리스 벡터제어기법을 연구하였다. 유도전동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를 위한 고피나스 모델 자속 관측기는 전압모델의 옵셋문제에 강인하고, 전동기 상수 오차에 다소 강인한 특성을 보이지만, 저속영역에서 전류모델이 우세하여, 전동기 상수 변화에 따른 자속추정 오차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전동기 초기구동 문제를 갖는다. 또한 전류모델과 전압모델의 절환시 자속추정 오차에 따른 토크 리플이발생 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가변게인 회전자 자속관측기를 이용한 센서리스 속도제어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순환식 기계식 입체주차설비 용 주 구동전동기인 유도전동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와 컨버터를 일체화한 165kVA 급 인버터장치와 통합 시퀀스제어 및 보조 장치용 전동기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PLC 형 제어반을 구성하였고 사 용자와의 MMI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Pro-Face 터 치스크린을 적용한 운전반올 구성하였다‘ 주 구동 장치의 제어를 위한 인버터반은 인버터부와 컨어터 부 및 입 .출력부로 구성하였으며 인버터반 내의 제어장치는 병렬통신처리를 하였고, 인버터반과 PLC 형 제어반 사이는 RS-232C 방식 통신체계를 갖추
도록 하였다. 터치스크린형 운전반과 PLC 형 제어반은 RS-422 통신기능을 갖는 C-Net 카드를 적용 하였으며, 실험은 55kW 급 유도전동기를 대상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