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년 4회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조사시기별 및 정점별 변동을 분석하였다. 용존성무기질소(DIN)의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과 저층 모두 비슷한 농도 분포를 보였는데, 10년간 표층 평균은 0.421㎎/L(0.198∼0.846㎎/L)였고, 저층 평균은 0.344㎎/L(0.148∼0.717㎎/L)였다.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에서 2002년 0.846㎎/L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차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2010년 0.198㎎/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층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DIN의 10년간 평균의 암모니아질소, 아질산질소 및 질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27%, 3% 및 70%정도로서 대부분 질산질소였으며, 표ㆍ저층간의 차이도 거의 없었다. 용존성무기인(DIP)의 연 평균값은 2002년 저층에서 0.085㎎/L로 높은 값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표·저층간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10년 평균이 0.024㎎/L 였으나, 2008년 0.021㎎/L, 2009년 0.007㎎/L, 2010년 0.008㎎/L로 농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DIN/DIP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표층에서 평균 6.0(3.2∼10.1), 저층에서 평균 4.6(2.6∼7.0)으로서 2002년을 제외하고는 연도별 및 표·저층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2004년부터 조사된 용존성무기규소는 7년 평균이 표층에서 0.372㎎/L, 저층에서 0.352㎎/L로 표·저층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2005년 평균 0.552㎎/L, 2006년 평균 0.575㎎/L의 값을 보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9년에는 0.130㎎/L로 최소값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염분과 용존성무기영양염류와의 10년간 상관관계는 표층에서 용존성무기질소는 -0.72, 용존성무기인은 -0.46, 용존성무기규소는 -0.63 이었으며, 저층은 용존성무기질소는 -0.70, 용존성무기인은 -0.44, 용존성무기규소는 -0.57로서, 군산 연안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은 금강으로 부터의 담수유입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금강을 통해 용존성무기질소가 많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성무기영양염류는 군산시에 가까운 정점 1, 2, 3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금강과 군산시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조사 시기에 따른 농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연도별 평균값을 보면 2001년부터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그 원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황토살포에 따른 해수중 영양염 제거효율 및 제거기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황토의 입자 크기와 살포농도에 따른 경과시간별 해수중 영양염 농도변화를 실내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53㎛ 이하에서 500㎛ 크기범위의 황토입자를 해수중에 첨가하여 24시간이 경과 후, 인산인의 제거효율은 황토 살포농도에 따라 59∼99%까지 변하였으며, 살포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효율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황토 입자크기에 따른 인산인의 제거효율의 차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규산규소의 제거효율은 황토입자 크기 및 살포 양의 차이에 관계없이 평균 약 26%가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해수중 황토 살포 후, 인산인의 제거기구를 파악하기 위한 인의 존재형태별 분석결과는 99% 이상의 인산인이 철성분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을 나타내었고, 규산규소는 해수와 황토 내에 들어있는 양이온과의 이온교환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Purpose: Femoro-infrapopliteal bypass is usually indicated for the patients with critical leg ischemia and when belowknee femoro-popliteal bypass is not available. Considering the technical difficulties and requirement of longer vein graft, inferior surgical outcomes are anticipated after femoro-in-frapopliteal bypass compared to below-knee femoro-popliteal bypass. We attempted to compare the early and late outcomes between the patients who underwent below-knee femoro-popliteal and femoro-infrapopliteal bypasses. Methods: Among 285 autologous reversed vein grafts implanted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 atherosclerotic leg arterial occlusion, the data base of 119 below-knee femoro-popliteal and 97 femoro-infrapopliteal bypasses (4 tibioperoneal trunk, 52 posterior tibial, 10 anterior tibial, 20 peroneal, and 11 inframalleolar arteri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o compare the patients characterisitics and surgical outcomes. To compare early postoperative outcome, operative mortality (3.5%, 77.35.1%, and 64.57.4% after B-K femoropopliteal bypasses and 87.94.1%, 72.5 6.3%, and 60.410.1% after femoro-infrapopliteal bypasses, respectively revea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Conclusion: In spite of anatomical and technical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femoro-infrapopliteal bypasses, ther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ly and late outcomes between below-knee femoro-popliteal and femoro-infrapopliteal bypasses with autologous reversed vein graft.
원심팬 날개 깃에서 발생한 와류와 원심팬 볼루트 사이의 상호작용은 원심팬의 주요한 소음원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음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원심팬의 주요한 소음원 영역으로 고려되는 원심팬 볼루트 영역을 세분화하여 볼루트 영역내의 상대적 기여도를 분석한다. 주요한 소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을 예측하기 위해 내부 음장용 복합 전산공력음향학(CAA, Computational Aero-Acoustics)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과 음향상사법(Acoustic Analogy), 그리고 경계요소법(BEM, Boundary Element Method)을 사용하여 원심팬 내부 유동장으로부터 방사한 소음을 원심팬 외부 음향장에서 예측하는 방법이다. 복합 CAA 방법을 이용한 원심팬 볼루트 영역내의 소음원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은 컷-오프영역으로부터 출구영역보다 컷-오프영역으로부터 원심팬 스크롤영역이 전체 소음에 대한 기여도가 높고, 날개 깃의 쉬라우드 영역보다 허브 영역이 전체 소음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저소음 원심팬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teraction between the unsteady flow emitted from the blade of the centrifugal fan and the volute tongue region of fan duct is known as the main noise source of the centrifugal fan. In this paper,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volute tongue region of the centrifugal fan is analyzed to utilize as the foundation data of low noise design. The internal hybrid CAA (Computational Aero-Acoustics) method is used to predict noise radiated from the main noise source. This method is the noise prediction technique using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coustic analogy, and BEM(Boundary Element Metho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centrifugal fan volute tongue region using the hybrid CAA method show that the region between the cut-off and the scroll has high contribution than the region between the cut-off and the outlet and the hub region of blade has high contribution than the shroud region of blade. These results is utilized as the importan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w noise centrifugal fan.】
천수만은 서산시, 태안군, 홍성군, 보령시로 둘러싸인 수심 20 m 내외의 해안으로, 과거부터, 대하, 꽃게의 산란장으로 알려져 있고, 바지락, 낙지, 농어, 민어, 도미류, 숭어 등 어장이 형성되어 있고 수산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80년대 이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천수만을 둘러싼 부남호에 서산 B 방조제, 간월호에 서산 A 방조제, 보령방조제, 홍성방조제를 건립하면서, 육수의 오염이 심화되고, 천수만 내만의 유속이 감속되었다. 저층 용존산소, 투명도, 표층 클로로필-a, 표층 용존질소, 용존무기인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기반 수질평가시, 서해 연안의 수질평가지수는 2000년대 초는 3등급 보통, 2000년대 중반이후는 2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천수만은 대체로 2등급을 유지하나, 내측은 3등급으로 조사되었다. 퇴적물의 강열감량, 화학적산소요구량, 산휘발성황화물을 기반으로한 오염도 평가시, 천수만, 금강하구역의 퇴적물 오염되고 지속되고 있는데, 특히 8월 천수만 해저 퇴적물 산휘발성황화물 농도값이 0.2 mg/g.dry (수산환경기준)을 상회하였다. 하계 고수온과 빈산소 발생, 강우기 방류 등으로 인한 육상오염원의 유입으로, 천수만 양식생물의 스트레스가 지속되고 있어, 2017년 천수만 하계 담수 방류시 2주 간격으로, 해수와 퇴적물 환경을 조사하였다. 하계 고수온기에 수온 약층이 강하게 형성되어, 표층과 저층의 수온이 3℃ 이상 차이가 나고, 저층에 용존산소 2.0mg/L 이하의 빈산소층이 형성되었지만, 육상 담수가 유입되면서, 수온 약층이 약화되었고 빈산소층이 소멸하였다. 담수방류시, 표층에 저염분수가 분포하면서, 표층과 저층의 염분 농도 구배가 형성되었다. 방류가 지속되며, 해수 내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용존무기질소, 인산염인이 증가한 반면에, 방류 종료 2주 뒤부터 해수는 안정화되나, 퇴적물 오염도가 증가하였다. 방류 전 총질소 농도는 0.348 mg/L 이나, 방류 시 0.548 mg/L 까지 증가하고, 용존무기질소 농도는 방류 전 0.100 mg/L 이나, 방류 시 0.218 mg/L 까지 증가하였다. 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방류시 6.65 mg/L 로 분석되었으나, 방류 종료 2주후 7.63 mg/L 으로 증가하였고, 강열감량은 방류시 5.97 mg/g.dry 이나 종료 2주후 6.82 mg/g.dry 로 증가하였다. 충청남도에서 부남호 기수환경복원을 위해 서산 방조제에 수문 개방하고, 2023년부터 사업을 착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향후, 6등급 수질의 부남호로부터 육상 오염원이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추적 연구할 필요가 있다.
가까운 사람과 사별한 개인은 애도라는 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며 애도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경감된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 애도의 정도와 기간이 달라질 수 있
으며 이에 DSM-5에서는 지속성 복합 애도장애를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적 상태에 포함시
켜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속성 복합 애도장애는 지속적 갈망/
그리움, 강렬한 슬픔과 정서적 고통, 죽은 사람에 대한 집착, 죽음을 둘러싼 상황에 대한 집
착 중 한 개 이상이 성인의 경우 12개월 이상 지속되고 죽음에 대한 반응적인 고통 6가지와
사회적/정체성 붕괴 6가지의 총 12가지 증상 중 6가지 이상을 현저하게 경험할 때 진단할 수
있다. 복합애도 척도(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 ICG)는 애도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자주 쓰
이는 평가 척도 중의 하나로 타당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복잡성 애도는 정상애도, 우울장
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감별이 필요하다. 복합성 애도 치료(complicated grief treatment:
CGT)는 무작위대조군 연구에서 개인정신치료에 비하여 치료 효과가 있으며 빠른 치료 반응
을 보인다는 결과를 보였다. 본 종설은 복잡성 애도에 대해 소개하고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