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세사단백인 desmin은 성숙한 근성유의 세포골격을 이루며 Vnnentin은 근재생시 중간엽기원 세포에 나타나기 때문에 중간세사단액의 발현여부로 근재생과정을 주석할 수 있다 신경성근영총에 따른 근재생과정을 중간세사의 변화로 알아보고자 흰쥐의 좌골신경을 압궤손상시킨 후 시기별 (2 4 6, 15 20, 27, 69일)로 장딴지근을 정취해 냉동연속조직절편을 제작한 뒤 연역조직화학적 반응을 시켜 desmin 및 Vlmentin 의 발현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정상적인 흰쥐 장딴지근의 근섬유에서 desmin은 약하게 반응한 반연 Vlmentm 은 반응이 없었고 신경 손상 후 2, 4일째까지 같은 현상을 보였다.
2. 신경 손상후 6일째에 처음으로 desmin과 Vlmentin 에 모두 강한 양성연역반응을 보이는 위축된 근섬유들이 관찰되었다.
3. 신경손상 후 15일째에서 위축왼 근섬유을이 증가되었고 정상 근성유보다 desmm 에 강한 면역반응성을 나타내었다. Desmin과 vlmentm 모두에 양성반응율 보인 위쭉왼 근섬유들이 소수 관찰되었다.
4. 신경손상 후 20일째에서 대부분의 근섬유들이 정상 근성유 보다 너 강한 desmin 양성연역반응을 보였다. 일부 근섬유들은 중심핵을 갖고 있었으며 desmin과 Vimentin에 대한 양성연역반응을 동시에 나타내었다
5. 신경손상 후 27일째에서 대부분의 근섬유들은 정상 크기로 회복되었으나 소수의 근섬유들은 위축된 상태였다 위축된 근섬유은 desmin에는 반응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 Vlmentm 에 매해서는 은섬유의 일부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였다.
6. 신경손상후 69일째에서 비대된 근섬유가 많이 관찰되였고 desmin 및 vinentin에 대한 면역반응은 정상근섬유와 동일하였다. 일부 위축된 근섬유들은 desmin 에 양성 면역반응을 보였으나 Vlmentm 에는 양성 면역반응을 보인 근섬유는 관찰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약한 desmm 반응 만을 보이는 은섬유는 정상 강한 desmm잔응만을 나타내는 근섬유는 변성 (degeneration), desmm 과 Vlmentm 이 동시에 나타내는 근섬유는 재생 (regenerahon) 중인 근섬유라고 규정지을 수 있겠다 그러므로 중간세사 단액인 desmin 과 Vlinentm 발현 어부로 신경성근육병증에는 물론 다양한 근육병증의 진단 및 근육발생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ellular senescence may be due to damage by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is study has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human cell lines of various origins, including 10S and 50S-derived normal skin fibroblasts, and 10S bone marrow, dental tissue and adipose-derived adult stem cells. After being exposed to H2O2, half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by cytotoxicity assay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50S-derived skin fibroblasts, than in 10S-derived skin fibroblasts and various adult stem cell lines. The cell population doubling time (PDT) and the cell frequency with high senescence associated-β-galactose activity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50S-derived fibroblasts exposed to 50 ppm H2O2 for 7 days, than those of 10S-derived fibroblasts and various adult stem cell lines. Further, the expression level of antioxidant-related genes,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catalase (CAT), was investigated in 10S and 50S-derived skin fibroblasts, and 10S-derived various adult stem cells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expression level of GPX was higher in most of cell lines, compared to CAT, and a significantly (P<0.05) higher expression level of GPX was observed in 10S-derived skin fibroblasts and adult stem cell lines, compared to 50S-derived skin fibroblasts. We concluded that old-aged skin fibroblasts seemed to be less resistant against ROS than young-aged skin fibroblasts and adult stem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