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have studied the influence of an AlGaN insertion layer in a GaN quantum well on the light emission from a strained GaN/AlGaN multiple-quantum well system.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GaN/AlGaN multiquantum wells of the same composition were studied by using the reciprocal space mapping and simulation techniques of high-resolution x-ray diffraction. The lattice constants along the in-plane direction determined from the (1 0 5) reciprocal space maps were a = 3.161 Å for normal multiquantum wells and a = 3.152 Å for interlayer multiquantum wells. The spatial localization of the quantum well emission was unambiguously determined by monochromatic cathodoluminescence measurements. This observation indicates that the blue emission near 2.96 eV in the interlayer multiquantum wells originates from the MQW region, rather than from a deep level in the GaN buffer layer. These transitions could be a quantum confined Stark effect due to the piezoelectric field caused by the strain between the well and barrier.
Fe 2 O 3 nanorods with controlled phase depending on the conditions have been synthesized via a sol–gel‐mediated route. The synthesis was performed using an easy and cheap method whereby, starting with an Fe 3+ salt, a sol–gel reaction in reverse micelles is followed by crystallization by reflux (see Figure for a schematic of the synthesis). A mechanism is proposed for the nanorod growth.
The dataset presented here is related to the research article entitled "Highly Efficient Electro-optically Tunable Smart-supercapacitors Using an Oxygen-excess Nanograin Tungsten Oxide Thin Film" (Akbar et al., 2017) [9] where we have presented a nanograin WO3 film as a bifunctional electrode for smart supercapacitor devices. In this article we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nanograin tungsten oxide thin films such as atomic force microscopy, Raman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spectroscopy. Moreover,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such as cyclic voltammetry,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 properties, and electrochromic properties including coloration efficiency, optical modulation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re presented.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장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가 유보통합에 대비하기 위하여 진학한 대학 유아교육과 성인재직학습자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사례를 제시하고, 수업 경험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성인재직학습자가 목표하는 교육성과를 달성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한 블렌디드 러닝의 지원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연구 방법: 유아교육과 성인재직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이들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내러티브(narrative inquiry) 방법을 활용하였다. 6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과 온라인 대화를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 대한 기록과 녹음된 면담내용을 컴퓨터 파일로 문서화한 후 의미의 속성에 따라 결과를 범주화하여 내러티브 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내용: 첫째, 보육교사라는 직무와 유아교육과의 학업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성인재직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은 먼저 명확한 학습 목표 설정을 위해 온·오프라인 활동으로 어떤 학습을 심화할지에 대한 계획수립, 수업활동의 주도권에 따른 활동 설계 및 분배, 다양한 디지털 도구와 학습 관리 시스템(LMS) 활용, 평가 방법 설계, 학습자 지원 제공 순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아교육과 성인재직학습자들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온·오프라인 연계학습을 통해 시·공간적 현실제약을 극복하게 해 주면서 자기 주도적 학습 몰입을 이끄는 장점과 함께 학습자간 내적 경험과 정보공유를 통한 학습 공동체로서의 상호 성장 및 소통과 관계맺음을 통한 심리적 안전지대로서의 기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및 제언: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현 시점에서 유아교육과 성인재직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사례를 제시하고 수업 경험의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직종의 성인재직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블렌디드 러닝 설계 및 지원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