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포츠 바우처 이용자 부모 및 보호자의 관계혜택, 지도자 신뢰, 고객만족 및 지속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포츠 바우처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수강생의 부모 및 이에 준하는 법적 보호자를 연구의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268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바우처 이용자 부모 및 보호자의 관계혜택 요인 중 사회적 혜택, 경제적 혜택, 고객화 혜택은 지도자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심리적 혜택은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바우처 이용자 부모 및 보호자의 관계혜택 요인 중 심리적 혜택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적 혜택, 경제적 혜택, 고객화 혜택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바우처 이용자 부모 및 보호자의 지도자 신뢰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바우처 이용자 부모 및 보호자의 지도자 신뢰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바우처 이용자 부모 및 보호자의 고객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구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 및 현장 적용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브랜드 네이티브 광고의 콘텐츠 소재(동영상/이미지)와 발신자 유형(기업/소비자)이 광고효과(브랜드 태도/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바일 페이스북 사용 경험이 있는 수도권 소재 대학(원)생을 본 연구의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108명의 표본을 추출한 다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및 다변량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브랜드 네이티브 광고에서 이미지 광고보다 동영상 광고가 광고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브랜드 네이티브 광고에서 기업 발신자 유형보다 소비자 발신자 유형이 광고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이티브 광고 발신자 유형과 콘텐츠 소재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마케팅 시사점 및 후속 연구기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8 아시안게임에 참가한 야구 국가대표팀과 관련된 뉴스, 블로그, 카페, SNS, 게시판 등 소셜 미디어상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통해 2018 야구 국가대표팀에 대한 전반적인 여론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빅데이터 일괄처리솔루션 ‘TextoM’을 사용하여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을 최초 공지한 날(2018년 6월 11일)부터 2018년 9월 10일까지 약 90일 간 인터넷포털사이트(Naver, daum, google)의 소셜 미디어에서 나타난 야구 국가대표팀 관련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텍스트마이닝, 감성분석,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및 CONCOR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8 아시안게임에 참여하는 야구 국가대표팀과 관련하여 동반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 긍·부정의 이미지, 동반 출현한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련성, 유사한 키워드들 간의 군집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야구 국가대표팀에 대한 국민들의 여론 및 인식을 파악해 볼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인사이트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rousal, at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sport advertising. Towards this end, a total of 250 collegiate students who are enrolling in the university of the metropolitan area was se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224 usable data were utilized in the data analysis procedure.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3.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rous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ttention to sport advertising. Secondly, att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ly, arous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were also suggested.